저는 이 블로그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천천히 임업을 준비하는 과정과 관련 정보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먼저, 저의 임야 구입 경험담을 이야기해보면 처음으로 임야를 소유하게 된 계기는 2016년 아버지가 가지고 계시던 가족 묘로 사용 중인 임야를 증여받은 것이었습니다.
면적도 작고 다른 친척들과 지분으로 소유하고 있어서 활용 가치가 크게 없는 임야였습니다.
두번째로는 2019년 투자목적으로 지인 소개를 통한 기획부동산 임야 구입이었습니다.
남양주의 삼기신도시 임야로 개발가능성을 미끼로 지분을 여러 개로 쪼개서 주변 시세의 3~4배의 가격에 팔았지만 나중에 확인해 보니 구입한 임야는 개발이 가능한 지역이 아니어서 결국 바보처럼 쓸모없는 지분임야를 비싸게 구입하고 말았습니다.
결국 '21년 경찰서에서 전화가 와서 이런 사기꾼들은 법의 심판을 받아야한다면서 저를 포함한 피해자들이 진술서를 제출하여 수사를 진행했지만 '22년의 수사결과에는 혐의 없음으로 종결되었습니다.
다른 사람의 달콤한 사탕발림의 권유여도 결국에는 본인인 내가 구입하였기 때문에 겸허히 받아들였고, 결국엔 쓸모없는 지분 임야가 하나 더 추가되었습니다.
나는 자연인이다. 윤택 "시세 4배 주고 자연인 추천 땅 매입, 반의반 값에 처분"
이처럼 기획부동산이나 주변사람, 산주의 말에 넘어가 쓸모없는 땅을 비싸게 구입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임야 구입 방법을 경매·공매에서 찾았습니다.
대법원 경매 / 온비드 공매
- 경매 : 대한민국 법원 법원경매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 법원에 직접 참석하여 현장 입찰로 진행
- 대금 납부 : 매각허가 결정 후 1달 내에 보증금을 제외한 낙찰 대금을 일시불로 완납 - 공매 :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공매시스템 온비드(온라인, 모바일)에서 물건 검색에서 입찰까지 가능하며 회원가입과 공인인증서 등록이 필요
- 대금 납부 : 3,000만원 미만은 매각 결정 기일로부터 7일 이내 / 3,000만원 이상일 경우 30일 이내 보증금을 제외한 대금 완납
온비드 공매
대법원 경매는 법원을 직접 찾아가서 입찰에 차여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이 어렵지만, 온비드 공매는 스마트폰 어플이나 인터넷에서 쉽게 입찰에 참여할 수 있어서 저는 온비드 공매를 선호합니다.
* 하지만 대법원 경매에 좋은 물건이 나올 경우 직접 찾아가서라도 입찰에 참여하였지만 좋은 결과는 나오지 않았었습니다.
'22년 12월 온비드 어플에서 지분 100%이며, 접근성은 약간 떨어지지만 활용도가 있어보이는 임야가 공매로 나와서 입찰에 참여하였습니다.
대상 임야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100%지분 물건으로 방위는 전체적으로 북서향에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대상 임야 안에는 분묘소재가 없지만 임야 주변으로 분묘가 있습니다.
접근성은 현장을 답사해 보니 차량 주차 후 다른 사람의 소유 임야 1필지 안에서 250m가량의 작업로를 걸어서 5분 정도 접근해야 하는 맹지 임야입니다.
「산지관리법」제4조(산지의 구분)의 규정에 의해 산지를 보전산지(임업용산지, 공익용산지)와 준보전산지로 나뉘는데 대상 임야는 보전산지 중 임업용산지로 구분되며,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가축사육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법적 제한 사항이 적은 임야입니다.
입찰정보 및 낙찰
온비드로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동임증 또는 네이버인증 등을 받아야 합니다.
감정평가금액은 31,696,500원으로 2022년 개별공시지가 39,713,850원(㎡당 2,130원) 보다 약 8백만원정도가 저렴하나 3번의 유찰로 4번째 입찰금액이 22,188,000원이었습니다.
저는 입찰금액보다 2,000원 더 높은 22,190,000원(㎡당 1,190원)에 입찰을 넣어 최종 낙찰받았습니다.
입찰할때 보증금 10%인 2,218,800원을 납부하고, 낙찰 후 7일 이내에 나머지 잔금 19,971,200원을 납부하였습니다.
'22년 개별공시지가 | 39,713,850원 |
감정가 | 31,696,500원 |
최소 입찰가(3회 유찰) | 22,188,000원 |
4회 낙찰가 (보증금) (잔금) |
22,199,000원 (2,218,800원) (19,971,200원) |
다음으로는 "임야 낙찰 후 소유권 이전을 위한 등기 서류 준비"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임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배를 위한 임산물 바로 알기!] 농산물과 임산물의 차이 (0) | 2023.07.21 |
---|---|
산림조합원 가입조건과 조합원으로서의 혜택 (0) | 2023.06.14 |